본문 바로가기

내 이야기/개인 비망록23

교보 앞에서 만났던 P에게 반가웠지요. 많은 이야기들이 밀려 있었지만 주로 사람이야기를 했군요. 안정된 직장이란 개념이 사라진지 오래된 지금, 젊은 이들이 많이도 옮겨다닙니다. 조직이 불안한 것이겠지요. 의미없이 옮겨다니는 것만으론 사람이 쉬 지치겠지만, 반대로 어떤 이유와 목적을 갖고 옮겨다니다보면 몸을 굴리는 과정에서 누구나 성장한다고 믿습니다. 오히려 문제는 남아있는 사람들이지요. 역할이 있고 나름 보람이 있고 그렇기에 오래 다니게 되는 직장. 하지만 세월이라는 녀석이 그리 호락호락하지는 않습니다. '직장이라 불리는 남의 일'을 해주다보면 누구나 정체되는 느낌을 받지요. 그런가 하면 어느새 변화를 해야하는 시기가 다가오고요. 그 때를 대비하여 숙제를 해두지 않으면 많은 어려움이 닥치게 됩니다. 오늘 나눈 이야기가 도움이 되었.. 2008. 10. 2.
청강...을 환영합니다 강의를 하기로 마음을 먹은지 벌써 4학기째가 되었네요. 그간 50명에서 70명씩 강의를 하였고 두 강좌를 모두 들은 분들이 10분 조금 넘는 것 같습니다. 몇 분이 청강을 해도 되냐고 물으시는데 저는 환영합니다. 언제까지 강의를 할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는 처지라 더욱 그렇습니다. 지난 학기 애인도 데려오시고, 동생도 데려오시고... 했었지요. 고마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청강...은 언제나 가능합니다. 안 물어보셔도 됩니다. 2008. 9. 23.
초등 1학년 산수문제 답을 모르는 아빠 딸 아이가 산수문제를 풀어왔습니다. 물론 몇개 틀렸고 학교에서는 엄마 아빠가 틀린 문제 정답도 알려주고 왜 틀렸는지 알 수 있도록 하라는 숙제를 냈나봅니다. 집에 들어가니 아내가 심각한 얼굴로 문제지를 들이 밀었습니다. 딸이 틀린 문제를 저보고 풀어보라는 것이지요. 문제1. 그림을 보니 자동차가 5개 있고 문제는 '다음 자동차를 2로 묶으시오'였습니다. 딸은 하나를 남겨두고 자동차를 2개씩 묶었습니다. 문제엔 틀렸다는 표시로 사선이 그어져 있었는데 문제를 보는 순간에는 이 문제가 왜 틀렸는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문제2. 그림에 10명의 어린이가 있고 각자 이름이 아래 써 있었습니다. 문제는 '영희는 왼쪽에서 부터 어디에 있을까요' ( )째 영희가 7번째 자리에 서 있었고 딸이 쓴 답은 7이었는데 역시 .. 2008. 6. 6.
하이드 파크 산책 영국 런던에 머물 일이 있어 며칠을 보내면서 시차적응도 안되는 중에 문득 하이드 파크를 걷고 싶었다. 묵는 곳에서 가깝기도 하고 해서. 새벽에 보슬보슬 비가 내려 우산을 손에 들었다. 바람이 불어와 얇은 옷을 살며시 여미었다. 하이드파크를 가로지르는 기다란 호수 그 주변엔 비가 내리는 중에도 아침 산책을 나온 런던 사람들이 많았다. 하이드 파크를 지키는 동상들 피터팬 제너 그리고 작은 연못을 지키는 백조 2마리 2008. 3. 24.
포스트가 뜸했던 이유 일이 밀려들면 제 아무리 궁리해 보아도 시간관리에 무리가 따르는가 봅니다. 금년 봄은 지난 계절들 보다 한 차원 높은 시간관리가 필요해 보입니다. 왜 바빴을까요. 1. 이사 2. 봄 강의 시작 3. 신규 프로젝트 운영 4. 벌여놓은 개인적인 일 회사일 외에 이런 것들이 있었네요. 조금 무리가 아닌가 싶기도 하군요. 포스트를 쓸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짐에 감사해야 할 상황이랄지... 2008. 3. 5.
화장실 관리원, 빈정 많이 상하시다 회사 건물에 있는 화장실은 공동화장실이다. 볼 일 보고 손 씻을 때, 양치할 때 보게되는 거울에 다음과 같은 종이가 붙어있었다. 무슨 글인가 싶어서 읽어보니 예사롭지 않았다. 이 화장실을 관리해주시는 분이 붙여놓은 것으로 보이는데 평소 이런 벽보에서 접하기 힘든 표현이 많이 들어 있었다. 본문을 보면... 내용을 해석해 본다. - 세면대 위에 버려진 휴지로 인해 관리 중 스트레스를 여러 차례 받음 - 한동안 세면대가 깨끗해서 잊고 살았음 - 1.15 피묻은 휴지가 세면대 위에 버려진 것을 보고 도저히 참을 수 없음 - 입주사 직원이라는 심증이 있지만 아닐 수도 있어 함부로 말할 수 없음 - 그래서 이런 글을 쓸 수 밖에 없음 이 공지를 거울 한가운데 붙인 것도 그렇지만 다음과 같은 표현이 등장하는 것도 .. 2008. 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