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콜릿하면 우리는 가나라는 나라를 자연스럽게 떠올린다. 초콜릿을 제조하는 한 기업에서 이 나라의 이름을 대표 브랜드로 오랫동안 사용했기 때문이다.
초콜릿의 원료가 되는 카카오는 아프리카 서부에서 주로 생산된다.
가나를 중심으로 베냉, 코트디부아르, 말리, 나이제리아, 카메룬, 가봉 등 서아프리카 지역이 주 산지이다. 그런데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카카오의 대부분은 수출단가가 매우 싼데... 이런 저가수출이 가능한 이유는 생산단가가 낮기 때문이고 그 배후에는 이 지역에서 횡행하고 있는 어린이 인신매매가 있다.
어린이들은 인신매매업자의 손을 거쳐 배를 타고 초대형 카카오 재배단지에 팔려가게 되는데 인신매매업자들이 어린이를 사면서 지불하는 댓가는 고작 15달러 선이라고 한다. 부모들은 자신이 낳아 기른 아이를 한국돈 1만5천원을 받고 노예로 넘기는 것이다.
높은 나무 위로 올라가서 열매를 따고 쪼개서 씨를 꺼내는 일을 하루종일 고되게 하는 이들 어린이들에게 미래는 없다. 영양부족과 잦은 부상, 체벌로 일찍 몸을 상하게 되는데 공부는 꿈꿀 수도 없다. 나이들거나 병들어 여기에서 쫓겨나더라도 결국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부류의 사람이 되는 것이다. 이들은 도대체 무엇을 위해서 이런 가슴 아픈 곳에 버려져야 하는가.
바로 초콜릿을 사먹을 수 있는 선진국에서 보다 싼 가격에 초콜릿을 먹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납작하게 적당한 크기로 만들어져 베어 물기 좋게 팔리는 초콜릿. 우리는 이 맛있는 걸 단돈 천원만 내면 어디서나 구할 수 있다. 이처럼 우리가 '비싸지 않다'라고 생각하면서 상점에서 무심코 집어드는 상품에는 그 만큼 누군가의 희생이 담겨있는 셈. 초콜릿의 경우는 서아프리카 어린이들의 행복과 미래가 반대급부로 지불되고 있었다.
할인점에 열광하고, 공짜에 이성을 잃어버리는 우리들. 자본가들은 외친다. "싼 것은 선하다!" 과연 그런 것인지 다시 생각해야 할 시대가 우리 앞에 놓여 있다.
-『세계에서 빈곤을 없애는 30가지 방법』 을 읽고
초콜릿의 원료가 되는 카카오는 아프리카 서부에서 주로 생산된다.
가나를 중심으로 베냉, 코트디부아르, 말리, 나이제리아, 카메룬, 가봉 등 서아프리카 지역이 주 산지이다. 그런데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카카오의 대부분은 수출단가가 매우 싼데... 이런 저가수출이 가능한 이유는 생산단가가 낮기 때문이고 그 배후에는 이 지역에서 횡행하고 있는 어린이 인신매매가 있다.
어린이들은 인신매매업자의 손을 거쳐 배를 타고 초대형 카카오 재배단지에 팔려가게 되는데 인신매매업자들이 어린이를 사면서 지불하는 댓가는 고작 15달러 선이라고 한다. 부모들은 자신이 낳아 기른 아이를 한국돈 1만5천원을 받고 노예로 넘기는 것이다.
높은 나무 위로 올라가서 열매를 따고 쪼개서 씨를 꺼내는 일을 하루종일 고되게 하는 이들 어린이들에게 미래는 없다. 영양부족과 잦은 부상, 체벌로 일찍 몸을 상하게 되는데 공부는 꿈꿀 수도 없다. 나이들거나 병들어 여기에서 쫓겨나더라도 결국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부류의 사람이 되는 것이다. 이들은 도대체 무엇을 위해서 이런 가슴 아픈 곳에 버려져야 하는가.
바로 초콜릿을 사먹을 수 있는 선진국에서 보다 싼 가격에 초콜릿을 먹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납작하게 적당한 크기로 만들어져 베어 물기 좋게 팔리는 초콜릿. 우리는 이 맛있는 걸 단돈 천원만 내면 어디서나 구할 수 있다. 이처럼 우리가 '비싸지 않다'라고 생각하면서 상점에서 무심코 집어드는 상품에는 그 만큼 누군가의 희생이 담겨있는 셈. 초콜릿의 경우는 서아프리카 어린이들의 행복과 미래가 반대급부로 지불되고 있었다.
할인점에 열광하고, 공짜에 이성을 잃어버리는 우리들. 자본가들은 외친다. "싼 것은 선하다!" 과연 그런 것인지 다시 생각해야 할 시대가 우리 앞에 놓여 있다.
-『세계에서 빈곤을 없애는 30가지 방법』 을 읽고
'내 이야기 > 뉴스에 대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진실 (2) | 2008.10.05 |
---|---|
FTA 되면 현대차와 기아차는 위험할 수도 (2) | 2008.06.28 |
김종훈, 판돈 찾아오랬더니 개평 좀 얻어와 (2) | 2008.06.22 |
개신교는 카톨릭의 민영화? (0) | 2008.06.16 |
광화문 컨테이너, 백보장성? (2) | 2008.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