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은 AT&T 전용 단말기입니다. 삼성 애니콜 단말기를 사도 SKT, KTF, LGT 등 이통사에 가입하지 않으면 전화가 되지 않지요. 최첨단 멋진 단말기가 나왔다고 해보지요. 단말기가 매력이 있으면 이통사에서는 독점을 하려고 합니다. 가입자가 대폭 늘어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지요. 대신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단말기 제조사에 해줘야 하는 것도 당연합니다. 아이폰이 출시 전부터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켰던 만큼 AT&T도 애플에 다양하고 많은 보상을 해줬다고 보는 것이 상식입니다. 아이폰 기능에 맞춰 내부적인 시설투자도 상당히 했겠구요.
아이폰을 구매하고 구동하기 위해서는 '액티베이션'이라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그것은 AT&T에 가서 해야합니다. AT&T에 가입해야만 전화도 개통되고 폰의 여러 기능도 가능하게 되지요. 해킹의 욕구가 생길 만한 상황이라고 하겠습니다. 아이폰을 써보고 싶긴한데 AT&T에 가입할 수 없거나 하기 싫은 사람들이 의외로 많기 때문이지요. 의무적으로 가입해야하는 AT&T 요금이 지나치게 비싼 것도 한 몫 단단히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이폰이 시판되지도 않을 뿐 아니라 들여와도 전화기로 쓸 수 없습니다. 계약된 이통사가 없기 때문입니다. 어떤 경로든 아이폰을 국내로 들여온 사람들은 전화단말기로 들여온 것이 아니므로 어떻게든 해킹을 하려할 것입니다. 액티베이션을 해제하면 최소한 인터넷이 되는 최첨단 PDA를 갖게 되기 때문입니다. 극히 최근에 들어서 얼리어답터인 몇몇 파워블로거들이 이와 관련한 정보를 올리고 있습니다. 이를 본 많은 사람들이 아이폰 지름신에 시달리고 있지요.
제품은 제조사에서 만들어 준 대로 얌전히 사용해야 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마음대로 '튜닝'해서 쓸 수 있는 것일까요? 일반 상식으로는 임의로 개조한 것에 대해 제조사 책임이 사라져 A/S가 되지 않는 선에서 타협이 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얼리어답터들은 A/S 불이익 보다는 제품을 써보는 것에 더 큰 가치를 두기 때문에 나중에 어떻게 되든 일단 저지르고 보는 것이라 보아야 하겠습니다. 이들은 애플에서 제공되는 것 이외에 이런 저런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해 써보고 있지요. 아이폰 인터페이스가 워낙 특별하다보니 그것 역시 꽤나 재미있는 작업일 겁니다.
관심은 애플의 태도로 향합니다. 현재까지 애플의 자세는 중립적입니다. 지난 9월 11일 Gearlog과의 인터뷰에서 애플 마케팅 책임자인 Greg Joswiak는 한마디로 '신경쓰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아이폰에 개인들이 임의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사용하는 것에 대해 인위적인 크랙을 추가해 막거나하는 일을 하지 않겠다는 것이지요. 그러면서도 업데이트 과정에서 비공인 애플리케이션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은 경고 했습니다.(관련기사)
애플이 적극적으로 차단하지 않는 동안 불만이 쌓이는 쪽은 AT&T 겠습니다. 아이폰 구매자가 고스란히 가입자로 유입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지요. 아이폰 판매량과 AT&T 가입자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이야기는 액티베이션 해제가 생각보다 많이 이
잡스의 생각은 어떨까요? 그로서는 잃는 것이 없어 보입니다. 마케팅 전략상 아이폰 해킹이 보다 광범위하게 일어나는 것은 오히려 장려할 만한 일이지요. 사용자들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안정적이고 유용한 것들이 쌓이면 쌓일 수록 아이폰의 매력은 커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이폰 업그레이드도 탄력을 받을 수 있게 되겠구요. '손에 들고 다니는 전능한 컴퓨터' 시장을 석권할 꿈을 꾸는 그로서는 당분간 중립적인 입장에서 사태를 느긋하게 관망할 것입니다. 어떠신가요? AT&T가 불쌍해지는 대목입니다만... 통화요금을 내려야 할까요?
KTF가 아이폰을 독점하기 위해 작업중이라고 합니다. 한국에도 해킹매뉴얼이 만들어지고 있으니 KTF로서는 미리 대비해두어야 겠네요. 너무 비싸게 부르면 오히려 손해만 볼 수 있다는 것도 고려해야 겠습니다.
'내 이야기 > 뉴스에 대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S스페셜 벌의 실종 (0) | 2007.10.29 |
---|---|
신정아 사건 일지(종합) (0) | 2007.09.19 |
정준하 사태를 정리했습니다 (4) | 2007.09.15 |
이미 진중권과 심형래는 한 판 붙었다 (2) | 2007.08.27 |
진중권, 그 무시무시한 자신감! (4) | 2007.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