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야기/삶에의 단상36 공포의 헛발질을 반성함 제자들과 오랫만에 만나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었다. 한 친구는 졸업하고 직장에 다니고 있고 한 친구는 이제 졸업반이다. 둘 다 나름의 고민이 있었다. 취업을 준비하는 친구는 작년에 이미 취업전쟁을 치뤄본 터라 뭔가를 보완해야 하지 않을까 고심하고 있었다. 어학 실력을 확실히 장착하면 좀 더 좋은 직장에 확실히 입성할 수 있을것이고 이미 갖춘 영어에 더해서 중국어를 배우고 오고 싶다고 했다. 분명 득이 될 투자임에는 분명했다. 또한 그만큼의 시간과 비용이 나가야 한다. 한 가지 걱정되었던 것은 뚜렷한 목적의 부재였다. 목표기업이 존재하고 그 곳에서 요구하는 기준이 중국어라면 1년 정도 투자하는 것은 불가피하다. 성과도 잘 난다. 하지만 목표를 정하지 않고 일명 스펙을 높이는 차원의 투자는 실효를 거두기 .. 2009. 7. 30. 생계와 인생를 구분할 수 있나요? 우리는 얻는 것으로 생계를 꾸려나가지만 주는 것으로 인생을 만들어간다 - 윈스턴 처칠 생계라는 문제와 맞닥뜨리게 되면 우리는 얻어야 할 것들에 조급해 집니다. 세 끼니 밥은 먹어야 겠지요. 입을 옷도 있어야 겠고, 등을 붙일 집이 있어야 합니다. 이런 의식주의 문제만이 아닙니다. 먹고 살 일에 극히 다급하지 않더라도 우리는 많은 것들을 얻으려 집착합니다. 사고 싶은 것들을 사야하고, 애들 공부를 더 많이 시키고 싶고 나중에 편히 살기 위해 돈을 더 많이 모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는 삶이 끝나버리지요. '이런 게 인생이란 말인가?' 이런 자문과 함께 눈을 감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평생을 생계만 바라보며 살아온 것이지요. 삶을 살아라. 처칠이 외칩니다. 우리는 얻으려 할 수록 옹졸하고 왜소해집.. 2009. 6. 10. 왜, 아버지가 현명해 보일까 마크 트웨인은 미국의 유명한 작가다. 그의 고백을 들어보면, 그는 18세에 가출을 한다. 자신을 이해해주지 못하는 아빠와 대판 싸우고 난 직후다. 그가 집으로 돌아가기 까지는 무려 3년이나 걸렸는데 그의 회고가 인상적이다. "가출했을 때는 아버지고 뭐고 정말 바보가 아닐까 생각했다. 3년이 지나서 돌아왔을 때, 이상하게도 아버지가 현명해졌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아버지가 큰 깨달음을 얻고 현명해지신 것인까? 실은 마크 트웨인이 현명해진 것이다. 혈기 넘쳐 집을 뛰쳐나간 후 많은 고생을 했으리라. 덕분에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졌으리라.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할 수 있는 나이가 되었고, 아버지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상대방이 화나게 만들고 어리석게 보이는가? 너무나 당연하게 생각되더라도 잠.. 2009. 4. 19. 오만에 대한 오해 오만한 사람이 용기를 가질 수 있는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다. 오만한 사람이라면 일단 다른 사람들을 무시하고 자기 마음대로 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과감하고 용감한 것으로 오해하기 쉽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은 듯 하다. 젊은 시절 꽤 오만했고, 지금도 오만함을 버리려고 무던히도 노력하는 필자는 나름 오만함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하는 편이다. 오만한 사람을 만나도 과거 스스로가 보였던 행동들을 생각해 보면서 그 마음에 대해 대개 이해가 되는 것이다. 오만함은 자존심의 부정적 갈래이다. 오만한 사람들은 이런 특징을 드러낸다. 약자에게 비열하며 강자에게 비굴하다. 앞에서 하는 말과 뒤에서 하는 말이 다르다. 상대의 약점만을 보려하고 사실을 인정하기 보다는 거짓으로 상황을 모.. 2009. 3. 20. 자존심의 두 갈래, 자부심과 자만심 자존심에 대해 좋게 말하는 사람도 있고 나쁘게 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자존심이 없는 사람은 무능하게 느껴지고 자존심이 지나치게 강한 사람과는 상종을 하기가 어렵지요. 그러다 보니 자존심 그 자체는 좋다 그르다고 할 것이 못된다는 생각이 듭니다. 정도의 문제일 수도 있겠군요. 자부심과 자만심으로 확장해서 생각하면 조금 분명해지는 것 같습니다. 자부심은 건강한 쪽이고 자만심은 부정적이죠? 둘 사이의 차이점에 대해 생각거리가 떠올랐습니다. 1. 실질적인 성과 자부심은 결과를 이뤄낸 후 그것을 대하는 마음입니다. 의욕만 앞서서는 자부심을 느낄 수 없지요. 자만심은 결과와는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재주가 있지만 실질적인 역량을 갖추지 못한 사람 중에 자만심을 드러내는 이들이 많습니다. 자만심이 큰 실패를 불러오.. 2009. 2. 20. 오늘을 보라 그대의 전생을 알고 싶은가? 그대의 오늘을 보라. 생의 앞날을 알고 싶은가? 그대의 오늘을 보라. 붓다의 가르침입니다. 오늘 나의 모습이 내 전생과 이승에서 살아온 나날이 어떠했는지 고스란히 보여주는 것이고 오늘 내가 생각하고 꿈꾸고 준비하는 보습이 생의 앞날을 말해줄 것입니다. 오늘이라는 찰라에 담긴 영겁의 세월을 짤막한 단 두개의 문장으로 정리해 주시네요. 위대함은 이런 간결함에도 스며있는 것 같습니다. 2008. 12. 21.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