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라니아 : 잉어목 카라신과의 열대성 담수어. 은빛에 배가 붉고 남아메리카 민물에 거주. 원주민의 말로 ‘이빨이 있는 물고기’라는 뜻이다. 몸길이 30cm에 달한다. 몸은 달걀 모양이고 눈에 띄게 옆으로 납작하다. 아래턱이 매우 발달하였으며 삼각형의 예리한 이빨이 있다. 육식성으로 성질이 흉폭하여 하천을 건너는 소나 양 등을 습격하고 무리를 지어 공격해서 뼈와 가죽만 남기고 살은 모두 먹어치운다.
마시멜로 이야기의 저자 호아킴 데 포사다의 후속작 피라니아 이야기에는 모두 7가지의 피라니아가 나온다. 사람들은 피라니아가 사는 물에 들어가길 무서워하는데, 생각이 있지만 행동에 이르지 못하는 우리 마음 원인들을 저자는 피라니아라고 통칭했다. 저자가 꼽은 7가지 마음을 보면
1. 고정관념
2, 모험 없는 삶
3. 목표 없는 삶
4. 부정적 감수성
5. 질문과 요구 없는 삶
6. 열정 없는 삶
7. 마지막으로 실행 없는 삶이다.
전작 마시멜로에서도 소재를 좁혀 톡톡히 재미를 봤기 때문에 이번에도 '행동에 나서지 못하는 이유'라는 타깃을 분명히 했다. 지나치지 않게 쉽고 간단하게 항목을 정했다. 본인의 인생 성공담을 재미있게 버무렸고, 감동적인 일화들을 각 장 마다 적절하게 배치했다. 읽는데 전혀 무리가 없다. 특히 인상깊은 일화는 링컨과 워싱턴에 감명을 받고 미국 대학에 가겠다는 일념하나로 4600km를 걸어 카이로로 향했던 무일푼 아프리카 청년의 이야기이다. 직접 읽는 다면 생생한 감동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읽고 나서 우선 드는 생각은 내 마음에서 헤엄치고 있는 피라니아는 과연 뭘까 하는 것이었다. 곰곰히 돌아보면서 우선 떠오르는 건,...
앎의 원이 늘어나면서 무지를 아는 면적이 넓어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디서나 아는 척하고, 가르치려하는 마음 한 마리가 포착된다. 관심을 갖고 질문하는 과정에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잃고서 후회하는 어리석은 녀석이다.
살아가는 목표를 어느 정도 추려서 말 할 수 있는 반면 그것에 대한 열정과 도전정신을 베어먹는 피라니아가 한 마리 있을 법하다. 아쉬울 것 없음... 절실하지 않음... 으로 표현되는 거만함과 그것에 덧붙여진 게으름...
맑은 정신으로 생각을 진전시켜 볼 주제 하나를 찾았다. 그러고 보니 피라니아 사냥도 비유가 적절했다.
마시멜로 이야기의 저자 호아킴 데 포사다의 후속작 피라니아 이야기에는 모두 7가지의 피라니아가 나온다. 사람들은 피라니아가 사는 물에 들어가길 무서워하는데, 생각이 있지만 행동에 이르지 못하는 우리 마음 원인들을 저자는 피라니아라고 통칭했다. 저자가 꼽은 7가지 마음을 보면
1. 고정관념
2, 모험 없는 삶
3. 목표 없는 삶
4. 부정적 감수성
5. 질문과 요구 없는 삶
6. 열정 없는 삶
7. 마지막으로 실행 없는 삶이다.
전작 마시멜로에서도 소재를 좁혀 톡톡히 재미를 봤기 때문에 이번에도 '행동에 나서지 못하는 이유'라는 타깃을 분명히 했다. 지나치지 않게 쉽고 간단하게 항목을 정했다. 본인의 인생 성공담을 재미있게 버무렸고, 감동적인 일화들을 각 장 마다 적절하게 배치했다. 읽는데 전혀 무리가 없다. 특히 인상깊은 일화는 링컨과 워싱턴에 감명을 받고 미국 대학에 가겠다는 일념하나로 4600km를 걸어 카이로로 향했던 무일푼 아프리카 청년의 이야기이다. 직접 읽는 다면 생생한 감동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읽고 나서 우선 드는 생각은 내 마음에서 헤엄치고 있는 피라니아는 과연 뭘까 하는 것이었다. 곰곰히 돌아보면서 우선 떠오르는 건,...
앎의 원이 늘어나면서 무지를 아는 면적이 넓어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디서나 아는 척하고, 가르치려하는 마음 한 마리가 포착된다. 관심을 갖고 질문하는 과정에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잃고서 후회하는 어리석은 녀석이다.
살아가는 목표를 어느 정도 추려서 말 할 수 있는 반면 그것에 대한 열정과 도전정신을 베어먹는 피라니아가 한 마리 있을 법하다. 아쉬울 것 없음... 절실하지 않음... 으로 표현되는 거만함과 그것에 덧붙여진 게으름...
맑은 정신으로 생각을 진전시켜 볼 주제 하나를 찾았다. 그러고 보니 피라니아 사냥도 비유가 적절했다.
'내 이야기 > 책을 읽다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안함의 중독을 경계함 (0) | 2008.01.31 |
---|---|
행복해지지 않는 이유, 쎈 거 하나 (0) | 2008.01.30 |
마시멜로 이야기 (0) | 2008.01.25 |
코엘료가 생각하는 악마의 개념 (2) | 2008.01.24 |
웹진화론의 후기, 웹인간론 (0) | 2008.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