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이러스2

신종 인플루엔자, 이제 더 이상 신종이 아니다 신종플루 혹은 SI라고도 불리는 신종인플루엔자A. 국내에도 확진환자와 감염된 환자가 발생했다. 이제 우리나라도 신종 인플루엔자 위험국가로 분류된다. 초대형 인플루엔자가 수십 년의 주기를 갖고 몰려왔던 경험으로 비추어 이제 종말이 다가오는 것인가. 20세기 초 수천 만의 목숨을 앗아갔던 스페인 독감 같은 재앙이 시작되는 것인가? 결론부터 말하면 '절대 아니오' 이다. 전문의의 한 마디가 큰 위로가 되고 평정심을 갖게 해주는 법이다. 인플루엔자 전문의에 따르면 멕시코에서 발발하여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은 신종 인플루엔자는 이제 더 이상 신종이 아니란다. 이미 감염이 일어나고 치료 까지 이뤄지면 기존의 인플루엔자 리스트에 포함된 셈이라고 한다. 6개월 내에 백신이 만들어질 것이고 인간의 면역체계 역시 대응책.. 2009. 5. 12.
인간이 지구의 주인일까? 인간이 지구의 주인인가, 아닌가? 당연히 주인? 인간의 이런 오만은 과학문명 때문에 얻어진 것일 것이다. 그러면서도 인류 역사를 통틀어 보면 참으로 짧은 기간에만 해당되는 생각이겠다. 하지만 여전히 이런 생각은 사실일까? 개인적으로는 확신하지 못한다.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개미를 읽으면서 이 생각에 잠시 물음표를 던졌던 분들이 많으리라고 본다. 개미와 비교하여 인간이 결코 우월하지 않다는 것을 작가가 설득력있게 보여줬기 때문이다. 개미를 동등하다고 한다면 인간보다 한 차원 높은 지위의 생명체가 이 지구에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세균을 생각해 보자. 우리는 살아있는 동안 세균, 즉 박테리아들에게 몸의 안과 밖을 점령당하고 살아간다. 이 중에는 좋은 것들도 있고 해로운 것들도 있다. 해롭.. 2007.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