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빈곤2

빈곤의 적은 관료주의 빈곤은 원조로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은 상식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동의할 것이다. 갑작스런 기근이나 천재지변 처럼 일시적인 빈곤에는 구호의 손길이 절실하다. 하지만 구조적인 빈곤은 그렇게 해서 해결되지 않는다. 밥을 먹여주는 것이 아닌 스스로 밥벌이를 하도록 이끌어야 한다. 하지만 이것은 사실 쉬운 일이 아니다. 만만한 일이라면 세계 도처에서 빈곤이 활짝 피어날리가 없지 않은가. 빈곤 해결은 국가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임무 중의 하나이지만 각 나라마다 성과는 극히 미미하다. 정부차원의 대책은 대개 원조성격의 선심성 정책이거나 아니면 실질적으로는 철저한 무시, 이 두 가지이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최근에는 NGO의 활동이 오히려 결과물을 만들어내고 있다. 방글라데시에서 시작된 그라민 은행.. 2009. 1. 8.
가나에서 만들어진 초콜릿은 왜 죄악인가 초콜릿하면 우리는 가나라는 나라를 자연스럽게 떠올린다. 초콜릿을 제조하는 한 기업에서 이 나라의 이름을 대표 브랜드로 오랫동안 사용했기 때문이다. 초콜릿의 원료가 되는 카카오는 아프리카 서부에서 주로 생산된다. 가나를 중심으로 베냉, 코트디부아르, 말리, 나이제리아, 카메룬, 가봉 등 서아프리카 지역이 주 산지이다. 그런데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카카오의 대부분은 수출단가가 매우 싼데... 이런 저가수출이 가능한 이유는 생산단가가 낮기 때문이고 그 배후에는 이 지역에서 횡행하고 있는 어린이 인신매매가 있다. 어린이들은 인신매매업자의 손을 거쳐 배를 타고 초대형 카카오 재배단지에 팔려가게 되는데 인신매매업자들이 어린이를 사면서 지불하는 댓가는 고작 15달러 선이라고 한다. 부모들은 자신이 낳아 기른 아이를 .. 2008. 6. 26.